Res. Plant Dis > Volume 31(1); 2025 > Article
한국에서 핵과류에 발생하는 잿빛무늬병균 개체군 조사

요 약

핵과류는 경제적으로 중요한 작물로써 대표 작물인 복숭아는 국내에서 사과와 감귤 다음으로 가장 넓은 재배면적을 가진 만큼 중요한 작물이다. 핵과류에는 세균, 진균 바이러스 등 다양한 병원균들 병을 일으키고 있으며 그중에서 잿빛무늬병 (brown rot)은 전 세계에 경제적으로 큰 피해를 입힌다. 이러한 잿빛무늬병의 원인균은 Monilinia spp.로 다양한 종들이 속해 있다. 그중 M. laxa, M. fructicola가 핵과류의 잿빛무늬병을 일으키는 주요 종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M. laxa는 유럽에서 주로 분포하고 있으며 M. fructicola는 미국과 호주에서 우점종인 것으로 조사된다. 그러나 현재 국내에서 발생하는 핵과류 잿빛무늬병의 원인균에 대한 분포가 조사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번 연구를 통해 국내 핵과류 잿빛무늬병의 원인균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2023년, 2024년 2년간 35개 지역에서 분리된 144개 균주를 분양받아 ITS, lcc2, β-tubulin, cyt B, TEF1-α 5개의 유전자로 분자생물학적 동정을 수행하였다. 총 142개 균주가 M. fructicola로 동정되었으며 그 외 2개 균주는 M. laxa로 확인되어 국내에서는 전국적으로 M. fructicola가 우점하는 것을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국내의 잿빛무늬병을 일으키는 Monillinia spp.에 종 분포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며 또한 M. fructicolaM. laxa보다 살균제에 저항성을 쉽게 가질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잿빛무늬병의 살균제 저항성에 대해 연구가 추가적으로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ABSTRACT

Stone fruits are economically important crops, comprising the largest cultivated area in Korea after apples and tangerines. Various pathogens infect these stone fruits, with brown rot causing significant economic damage worldwide. The pathogen responsible for brown rot is Monilinia spp. There are several species of Monilinia, with Monilinia laxa and Monilinia fructicola being the primary species causing brown rot in stone fruits. While M. laxa is primarily found in Europe, M. fructicola is mainly located in the United States and Australia. Currently, there is no nationwide survey to determine which species are dominant, prompting this investigation to identify the prevailing species. A total of 144 fungal isolates were collected and identified from stone fruit farms in 35 regions across the country in 2023 and 2024. The genetic regions ITS, lcc2, β-tubulin, cyt B and TEF1-α were analyzed to identify the pathogens. Of the 144 isolates, two were identified as M. laxa, while the remaining 142 were identified as M. fructicola. Furthermore, M. fructicola is known to acquire fungicide resistance more easily than M. laxa, suggesting a need for greater attention to fungicide resistance in Korea. This study provided fundamental data on Monilinia spp. proportions, the causative agents of brown rot in Korea.

서 론

핵과류(stone fruit)는 벚나무속 (Prunus) 장미과(Rosaceae)에 포함되는 식물이다. 핵과류에 복숭아, 자두, 체리, 살구 등이 포함되며 온화한 동유럽과 동아시아와 같은 구대륙에서 유래하여 재배되었으며, 현재는 전 세계적으로 재배되며 경제적으로 중요한 작물 중 하나이다(Flore, 2018; Potter, 2012). 이러한 핵과류 중 대표적인 복숭아는 사과, 감귤 다음으로 넓은 재배면적을 가진 작물로, 생과실과 가공품으로 많이 소비되는 작물이다(Hans 등, 2020).
핵과류에 피해를 주는 병은 검은 옹이병(black knot), 잎 반점병(leaf spots), 잿빛무늬병(brown rot), 복숭아 딱지병(peach scab) 등 다양한 병들이 존재한다(Ram과 Bhardwaj, 2004). 핵과류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병원균 중 진균으로 인해 발생하는 잿빛무늬병(brown rot)은 핵과류에서 기주 특이성을 보이지 않고 핵과류의 꽃 마름병(blossom blight)과 가지 궤양병(cankers)을 일으키는 것뿐 아니라 경제적으로 중요한 과실에 직접적으로 과일 썩음병(brown rot)을 일으켜 과수의 상층부에 전반적으로 병을 발생하여 식물병리학적으로 중요한 병원균이다(Martini와 Mari, 2014). 또한 잿빛무늬병은 과실을 수확기 전에도 피해를 주지만 운송 및 저장 도중에 발생하는 피해가 경제적으로 더 크게 발생하며, 선행 연구에 따르면 20 o C에서 8일간 보관하였을 때 50%로 병 발생에 의한 피해가 확인되었다(McLaren 등, 1996). 이러한 피해가 2014년 기준 전 세계 1.7억 유로에 달하는 피해가 발생하였다(Martini와 Mari, 2014). 이러한 잿빛무늬병은 Monilinia spp.가 주요 병원균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Rungjindamai 등, 2014). Monilinia spp.는 50종이 넘는 다양한 종으로 구성돼 있으며 그중에서 M. laxa, M. fructicola, M. fructigena 3종이 가장 공격적으로 병을 발생시킨다고 알려져 있다(De Miccolis Angelini 등, 2022; Robert 등, 2005). M. fructigena는 사과와 배 같은 인과류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으며, M. laxaM. fructicola 두 종은 핵과류와 인과류 둘 다 피해를 입힌다고 보고되었다(Martini와 Mari, 2014). 그중 M. laxa는 유럽에서 주로 발견되는 병원균이며 M. fructicola는 미국과 호주를 중점으로 많이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Fulton과 Brown, 1997). 두 병원균은 과거에는 형태학적 동정으로 종 간 분류가 어려웠지만 현재는 분자생물학을 통해 정밀한 종 간의 분류를 할 수 있다(Hu 등, 2011). 현재 국내에서는 M. fructicola 병해 특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전국적인 Monilinia spp. 분포도 조사에 대한 최신 기초 자료가 부족하다. 본 연구는 2023년도와 2024년도에 핵과류에서 발병하는 잿빛무늬병균의 다중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국내에서 분포하고 있는 Monilinia spp.의 다양성과 우점종을 조사하고자 수행되었다.

재료 및 방법

병원균 분양 및 배양 방법.

농업유전자원센터 미생물은행 (Korean Agricultural Culture Collection, KACC)에서 분양받은 M. fructicola NO.44711 1 균주, 국립원예특작과학원(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에서 32균주(2023년 상반기) 그리고 글로벌농업컨설팅㈜에서 국내 시/군 단위인 35개 지역에서 분리한 112균주(2023년 하반기 58개, 2024년 상반기 54개)로 KACC에서 분양받은 비교 균주(reference strain) 포함 145개 핵과류 잿빛무늬병균 (Monilinia spp.)을 분양받아 사용하였다(Table 1). 분양받은 병원균들은 모두 식물체 과실의 병반에서 포자를 채집 후 단포자 분리를 통해 분리되었다. 잿빛무늬병균 배양 방법은 선행 연구 결과에 따르면 Monilinia spp.가 포자와 균사 생장이 빠르다고 알려진 V8 배지(CaCO3 2 g; V8 juice 200 ml; agar 20 g; distilled water 800 ml per 1 liter)로 선정하였으며 25 o C 정체배양기에서 암 조건으로 배양하였다(Vasić 등, 2018).
Table 1.
Continued Identification of pathogen causing brown rot of stone fruits in Korea
NO. Isolate Province County Host Year Species
1 O20 Jeolla Wanju Apricot 2023 M. fructicola
2 O21 Jeolla Wanju Apricot 2023 M. fructicola
3 O22 Jeolla Wanju Apricot 2023 M. fructicola
4 O23 Jeolla Wanju Apricot 2023 M. fructicola
5 O24 Jeolla Wanju Apricot 2023 M. fructicola
6 O25 Jeolla Wanju Plum 2023 M. fructicola
7 O26 Chungcheong Daejeon Japanese Plum 2023 M. fructicola
8 O27 Chungcheong Daejeon Japanese Plum 2023 M. fructicola
9 O28 Jeolla Imsil Japanese Plum 2023 M. fructicola
10 O29 Jeolla Suncheon Plumcot 2023 M. fructicola
11 O30 Jeolla Suncheon Plumcot 2023 M. fructicola
12 O31 Jeolla Suncheon Plumcot 2023 M. fructicola
13 O32 Jeolla Suncheon Plumcot 2023 M. fructicola
14 O33 Jeolla Suncheon Plumcot 2023 M. fructicola
15 O34 Gyeongsang Gyeongsan Apricot 2023 M. fructicola
16 O35 Gyeongsang Gyeongsan Apricot 2023 M. fructicola
17 O36 Jeolla Wanju Plumcot 2023 M. fructicola
18 O37 Jeolla Wanju Plumcot 2023 M. fructicola
19 O38 Jeolla Wanju Plumcot 2023 M. fructicola
20 O39 Jeolla Wanju Plumcot 2023 M. fructicola
21 O40 Jeolla Wanju Cherry 2023 M. fructicola
22 O41 Jeolla Wanju Cherry 2023 M. fructicola
23 O42 Jeolla Wanju Cherry 2023 M. fructicola
24 O43 Gyeongsang Gyeongsan Apricot 2023 M. fructicola
25 O44 Jeolla Imsil Apricot 2023 M. fructicola
26 O45 Jeolla Imsil Apricot 2023 M. fructicola
27 O46 Gyeonggi Yeoncheon Plum 2023 M. fructicola
28 O47 Gyeonggi Yeoncheon Plum 2023 M. fructicola
29 O48 Gyeonggi Yeoncheon Peach 2023 M. fructicola
30 O49 Gyeonggi Yeoncheon Peach 2023 M. fructicola
31 O50 Gyeonggi Yeoncheon Peach 2023 M. fructicola
32 O51 Gyeonggi Yeoncheon Peach 2023 M. fructicola
33 G47 Gyeonggi Chuncheon Plum 2023 M. fructicola
34 G48 Gyeonggi Chuncheon Japanese Plum 2023 M. fructicola
35 G56 Gyeonggi Gangneung Plum 2023 M. fructicola
36 G57 Gyeonggi Gangneung Plum 2023 M. fructicola
37 G58 Gyeonggi Hongcheon Plum 2023 M. fructicola
38 G71 Chungcheong Eumseong Japanese Plum 2023 M. fructicola
39 G77 Gyeongsang Uiseong Nectarine 2023 M. fructicola
40 G78 Gyeongsang Uiseong Plum 2023 M. fructicola
41 G79 Gyeongsang Gyeongsan Nectarine 2023 M. fructicola
42 G80 Gyeongsang Gyeongsan Nectarine 2023 M. fructicola
43 G81 Gyeongsang Gimcheon Cherry 2023 M. fructicola
44 G82 Gyeongsang Cheongdo Peach 2023 M. fructicola
45 G83 Gyeongsang Cheongdo Peach 2023 M. fructicola
46 G85 Gangwon Chuncheon Japanese Plum 2023 M. fructicola
47 G86 Gangwon Chuncheon Apricot 2023 M. fructicola
48 G87 Gangwon Chuncheon Apricot 2023 M. fructicola
49 G88 Gangwon Chuncheon Plum 2023 M. fructicola
50 G89 Gangwon Yeongwol Apricot 2023 M. fructicola
51 G90 Gangwon Yeongwol Apricot 2023 M. fructicola
52 G91 Gangwon Yeongwol Apricot 2023 M. fructicola
53 G92 Gangwon Hongcheon Apricot 2023 M. fructicola
54 G93 Gangwon Hongcheon Apricot 2023 M. fructicola
55 G94 Gangwon Hongcheon Apricot 2023 M. fructicola
56 G95 Gangwon Yangyang Plum 2023 M. fructicola
57 G96 Gangwon Hoengseong Plum 2023 M. fructicola
58 G97 Gangwon Hoengseong Plum 2023 M. fructicola
59 G98 Gangwon Hoengseong Plum 2023 M. fructicola
60 G99 Gangwon Hoengseong Apricot 2023 M. fructicola
61 G100 Gangwon Hoengseong Apricot 2023 M. fructicola
62 G101 Gangwon Hoengseong Apricot 2023 M. fructicola
63 G102 Gangwon Yangpyeong Plum 2023 M. fructicola
64 G103 Gangwon Yangpyeong Plum 2023 M. fructicola
65 G104 Gangwon Anseong Plum 2023 M. fructicola
66 G108 Chungcheong Goesan Plum 2023 M. fructicola
67 G109 Chungcheong Chungju Plum 2023 M. fructicola
68 G110 Chungcheong Yeongdong Plum 2023 M. fructicola
69 G111 Chungcheong Yeongdong Plum 2023 M. fructicola
70 G112 Chungcheong Yeongdong Plum 2023 M. fructicola
71 G113 Chungcheong Jecheon Peach 2023 M. fructicola
72 G114 Chungcheong Jecheon Peach 2023 M. fructicola
73 G116 Jeolla Hwasun Peach 2023 M. fructicola
74 G117 Jeolla Hwasun Peach 2023 M. fructicola
75 G118 Jeolla Hwasun Peach 2023 M. fructicola
76 G119 Jeolla Hwasun Peach 2023 M. fructicola
77 G120 Jeolla Muju Peach 2023 M. fructicola
78 G121 Jeolla Muju Peach 2023 M. fructicola
79 G123 Jeolla Suncheon Peach 2023 M. fructicola
80 G124 Jeolla Suncheon Peach 2023 M. fructicola
81 G125 Jeolla Suncheon Peach 2023 M. fructicola
82 G126 Jeolla Suncheon Peach 2023 M. fructicola
83 G127 Jeolla Suncheon Peach 2023 M. fructicola
84 G128 Jeolla Jeonju Cherry 2023 M. fructicola
85 G129 Jeolla Iksan Cherry 2023 M. fructicola
86 G130 Jeolla Gochang Cherry 2023 M. fructicola
87 G131 Jeolla Gochang Cherry 2023 M. fructicola
88 G132 Jeolla Namwon Plum 2023 M. fructicola
89 G133 ND ND ND 2023 M. fructicola
90 G134 ND ND ND 2023 M. fructicola
91 G15 Gyeongsang Yeongju Cherry 2024 M. fructicola
92 G16 Gyeongsang Yeongju Cherry 2024 M. fructicola
93 G17 Gyeongsang Yeongju Cherry 2024 M. fructicola
94 G18 Gyeongsang Yeongju Cherry 2024 M. fructicola
95 G19 Gyeongsang Bonghwa Cherry 2024 M. fructicola
96 G20 Gyeongsang Bonghwa Cherry 2024 M. fructicola
97 G21 Gyeongsang Bonghwa Cherry 2024 M. fructicola
98 G22 Gyeongsang Bonghwa Cherry 2024 M. fructicola
99 G23 Gyeongsang Bonghwa Cherry 2024 M. fructicola
100 G24 Gyeongsang Bonghwa Cherry 2024 M. fructicola
101 G25 Gyeongsang Daegu Cherry 2024 M. fructicola
102 G26 Gyeongsang Daegu Cherry 2024 M. fructicola
103 G27 Gyeongsang Daegu Cherry 2024 M. fructicola
104 G28 Gyeongsang Daegu Cherry 2024 M. fructicola
105 G29 Gyeongsang Daegu Cherry 2024 M. fructicola
106 G30 Gyeongsang Daegu Cherry 2024 M. fructicola
107 G31 Gyeongsang Gyeongju Cherry 2024 M. fructicola
108 G32 Gyeongsang Gyeongju Cherry 2024 M. fructicola
109 G33 Gyeongsang Gyeongju Cherry 2024 M. fructicola
110 G34 Gyeongsang Gyeongju Cherry 2024 M. fructicola
111 G35 Gyeongsang Gyeongju Cherry 2024 M. fructicola
112 G36 Gyeongsang Gyeongju Cherry 2024 M. fructicola
113 G37 Gyeongsang Uiseong Cherry 2024 M. fructicola
114 G38 Gyeongsang Uiseong Cherry 2024 M. fructicola
115 G39 Gyeongsang Gyeongsan Nectarine 2024 M. fructicola
116 G40 Gyeongsang Gyeongsan Nectarine 2024 M. fructicola
117 G41 Gyeongsang Gyeongsan Nectarine 2024 M. fructicola
118 G42 Gyeongsang Gyeongsan Nectarine 2024 M. fructicola
119 G43 Gyeongsang Gimcheon Cherry 2024 M. fructicola
120 G44 Gyeongsang Cheongdo Plum 2024 M. fructicola
121 G45 Gangwon Chuncheon Plum 2024 M. fructicola
122 G46 Gangwon Chuncheon Japanese Plum 2024 M. fructicola
123 G49 Gangwon Chuncheon Plum 2024 M. fructicola
124 G50 Gangwon Yeongwol Plum 2024 M. fructicola
125 G51 Gangwon Yeongwol Plum 2024 M. fructicola
126 G52 Gangwon Yeongwol Plum 2024 M. fructicola
127 G53 Gangwon Wonju Plum 2024 M. fructicola
128 G54 Gangwon Wonju Plum 2024 M. fructicola
129 G55 Gangwon Gangneung Plum 2024 M. fructicola
130 G59 Gangwon Hongcheon Plum 2024 M. fructicola
131 G60 Gangwon Yangyang Plum 2024 M. fructicola
132 G61 Gangwon Yangyang Plum 2024 M. fructicola
133 G62 Gyeonggi Hwasun Apricot 2024 M. laxa
134 G63 Gyeonggi Hwasun Japanese Plum 2024 M. fructicola
135 G64 Gyeonggi Icheon Cherry 2024 M. fructicola
136 G65 Gyeonggi Icheon Cherry 2024 M. fructicola
137 G67 Gyeonggi Suwon Nectarine 2024 M. fructicola
138 G68 Gyeonggi Yangpyeong Plum 2024 M. fructicola
139 G69 Gyeonggi Yangpyeong Plum 2024 M. fructicola
140 G70 Gyeonggi Gapyeong Plum 2024 M. fructicola
141 G73 Chungcheong Eumseong Japanese Plum 2024 M. laxa
142 G74 Chungcheong Buyeo Plum 2024 M. fructicola
143 G75 Gyeongsang Uiseong Nectarine 2024 M. fructicola
144 G115 Jeolla Hwasun Peach 2024 M. fructicola
145 44711 Chungcheong Sejong Peach 2009 M. fructicola

solates O (O1-O44) were obtained from the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 and isolates G (G1-G134) from Global Agriculture Company. ND, no data.

병원균 동정.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글로벌농업컨설팅㈜ 및 농업유전자원센터 미생물은행에서 분양받은 145개 균주를 정확한 동정을 하기 위해 형태학적 동정과 분자생물학적 방법을 진행하였다. 병원균의 포자 및 균사 생장을 확인하기 위해 potato dextrose agar 배지(potato starch 4 g, dextrose 20 g, agar 20 g, distilled water per liter)를 제작하여 배양하였으며, 유전자 동정을 위해서는 포자와 균사 생장이 빠른 V8 배지(CaCO3 2 g; V8 juice 200 ml; agar 20 g; distilled water 800 ml per liter)를 제작하였다. 배지에 병원균을 치상 후 25 o C 정체배양기에서 암 조건으로 5일간 배양하였다.
병원균의 균학적 특성 확인 및 형태학적 동정을 수집한 포자를 Olympus BX53 optical microscope (Olympus Corporation, Tokyo, Japan)을 사용하여 200×, 400× 배율로 포자 및 균사를 관찰하였다. 다음 분자생물학적 동정을 위해 DNA 추출을 진행하였다. CTAB (2% cetyltrimethylammonium bromide, 1% polyvinylpyrrolidone, 100 mM Tris-HCl, 1.4 M NaCl, 20 mM EDTA pH 8.0) 500 μ l가 들어있는 1.7 ml E-tube에 V8 배지에 5일 이상 배양하여 형성된 포자와 균사를 채취하여 첨가하였다. Proteinase K solution (20 mg/ml) 8 μ l를 첨가 후 65 o C 에 10분 간격으로 tissue grinder로 총 3회 분쇄하였다. 분쇄 후 PCI (phenol:chloroform:isoamyl alcohol, 25:24:1) 500 μ l 투여하고 10회 inverting 후 원심분리기를 통해 12,300 × g으로 10분간 진행하여 DNA를 분리하였다. 상층액을 새로운 E-tube에 넣고 400 μ l Isopropanol을 첨가하여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12,300 × g으로 5분간 원심분리를 진행하였다. 원심분리 완료 후 상층액을 제거한 E-tube에 70% ethanol 500 μ l를 넣고 10회 inverting하였다. 마지막 12,300 × g으로 5분간 원심분리를 진행한 후 상층액을 제거하였다. E-tube에 남아있는 ethanol을 완전히 제거하기 위해 상온에서 2시간 이상 건조하였다. 건조가 끝난 E-tube에 TE buffer 20 μ l 첨가하여 DNA 추출을 완료하였다(Fatima 등, 2011; Kim 등, 2016). 추출한 DNA 순도를 확인하기 위해 NanoDrop 2000C spectrophotometer (Thermo Scientific, Waltham, MA, USA)를 사용하여 purity (260/280 ratio 1.8-2.0, 260/230 ratio 1.8-2.2)와 quantity 확인을 하였다(Desjardins와 Conklin, 2010).
분자생물학적 동정은 ITS (580 bp), lcc2 (763 bp), β-tubulin (1164 bp), cyt B (1176 bp), TEF1-α (250 bp) 총 5가지 영역으로 염기서열을 이용하였다(Hily 등, 2011; Hu 등, 2011; White 등, 1990; Zhu 등, 2016) (Table 2). Primer는 ITS1 (5’-GCC GTA GGT GAA CCT GCG G-3’)/ITS4 (5’-GCC TCC GCT TAT TGA TAT GC-3’), LacaF (5’-GCA TCT GCA TCT GCT ATT CCA GCT-3’)/LacaR (5’-CTT ACC GCC ACC AAC GCA GTT-3’), Mon-TubF1 (5’-ATG CGT GAG ATT GTA CGT AT-3’)/Mon-TubR1 (5’-GTA CCA ATG CAA GAA AGC CT-3’), Colaexon3-fwd (5’-TTT ACC TTA CGG TCA AAT GAG CCT-3’)/Colaexon4-rev (5’- AAC TCA ACA ATA TCA CCT CCA ATT CAT-3’), EF1-α F (5’-CAT CGA GAA GTT CGA GAA GG-3’)/EF1-α R (5’-TAC TTG AAG GAA CCC TTA CC-3’)을 사용하였다(Table 2). PCR 혼합물에는 바이오니아사(BIONEER Inc., Daejeon, Korea)의 dNTP, Toq polymerase, 10X reaction buffer를 사용하였다. PCR-tube (0.2 ml)에 DNA 100 ng, dNTP 1 μ l, Taq polymerase 0.5 μ l, 10X reaction buffer 2 μl를 넣고 각 영역에 맞는 primer forward 1 μ l, reverse1 μl를 넣고 최종적으로 total volume 20 μ l가 되도록 distilled water를 첨가하였다. 각 증폭 영역에 따라 T100 thermal cycler (Bio-Rad Laboratories Inc., Waltham, CA, USA), Techne TC-512 thermal cycler (Keison Products Inc., Essex, CA, USA)를 사용하여 ITS (95 o C 6 min, 94 o C 30 sec, 50 o C 30 sec, 72 o C 1 min, 72 o C 10 min, 30 cycle), lcc2 (94 o C 3 min, 94 o C 30 sec, 52 o C 30 sec, 72 o C 1 min 30 sec, 72 o C 10 min, 35 cycle), β-tubulin (95 o C 3 min, 95 o C 30 sec, 52 o C 30 sec, 72 o C 1 min, 72 o C 3 min, 35 cycle), TEF1-α (94 o C 2 min, 94 o C 30 sec, 52 o C 1 min, 72 o C 1 min, 72 o C 3 min, 35 cycle), cyt B (94 o C 2 min, 94 o C 30 sec, 55 o C 30 sec, 68 o C 2 min 30 sec, 68 o C 4 min, 30 cycle) PCR을 진행하였다. PCR을 진행한 후 원하는 유전자가 증폭이 됐는지 확인을 위해 전기영동을 실시하였다. PCR 산물 20 μ l에 10× loading buffer (TAKARA Bio Inc., Shiga, Japan) 2 μ l 첨가 후 pipetting하여 1.5% agarose gel (TE buffer 100 ml, 1.5 g agerose)에 넣고 1 Kb DNA Ladder RTU (GeneDireX, Inc., Hsinchu, Taiwan) 3 μ l를 사용하였으며 Mupid-exU (Advanced Biotechnologies, Inc., Eldersburg, MD, USA) 100 V로 20분간 진행 후 원하는 유전자의 증폭을 확인하기 위해 최종적으로 UV로 확인하였다. 원하는 절편 외 다른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Expin TM Combo GP Kit (GeneAll Biotechnology Co., Ltd., Seoul, Korea)를 사용하여 정제 후 코스모진텍(Cosmogentech Inc., Seoul, korea)에 염기서열 분석을 수행하였다.
Table 2.
Primers used to identify the pathogen causing brown rot
Gene Primer sequence length (bp) Tm ( o C) Reference
Primer Product
ITS Forward 5’-GCCGTAGGTGAACCTGCGG-3’ 19 bp 580 bp 50 White et al. (1990)
Reverse 5’-GCCTCCGCTTATTGATATGC-3’ 20 bp
lcc2 Forward 5’-GCATCTGCATCTGCTATTCCAGCT-3’ 24 bp 736 bp 52 Zhu et al. (2016)
Reverse 5’-CTTACCGCCACCAACGCAGTT-3’ 21 bp
β-Tubulin Forward 5’-ATGCGTGAGATTGTACGTAT-3’ 20 bp 1,164 bp 52 Hu et al. (2011)
Reverse 5’-GTACCAATGCAAGAAAGCCT-3’ 20 bp
TEF1-α Forward 5’-CATCGAGAAGTTCGAGAAGG-3’ 20 bp 250 bp 52 Fischer et al. (2017)
Reverse 5’-TACTTGAAGGAACCCTTACC-3’ 20 bp
cyt B Forward 5’-TTTACCTTACGGTCAAATGAGCCT-3’ 24 bp 1,176 bp 55 Hily et al. (2011)
Reverse 5’-AACTCAACAATATCACCTCCAATTCAT-3’ 27 bp

ITS, internal transcribed spacer; TEF1-α, translation elongation factor 1-alpha.

병원균 염기서열 분석.

분석이 완료된 염기서열을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NCBI)에서 동정하였다. NCBI에 등록된 참조 균주들의 5가지 영역에 대한 FASTA 파일을 확보한 후 MEGA 11 software (version 11.0.13)를 사용해 유사성 확인을 진행하였다. 이후 R 프로그램(R version 4.3.3)을 사용하여 multiple sequence alignment 진행 후 multilocus 를 위해 MEGA 11 software를 사용하여 다중 유전자 염기서열 계통수를 생성하여 정확한 계통학적 분석을 하였다(Tamura 등, 2021).

결과 및 고찰

국내 발생한 핵과류 잿빛무늬병균의 분자생물학적 동정.

핵과류에 식물병리학적으로 중요한 잿빛무늬병을 일으키 는 주요 종은 Monilnia spp.로 알려져 있으며 그중 M. fructicolaM. laxa가 핵과류 병원균 중 공격적인 Monilinia 종으로 알려져 있다(De Miccolis Angelini 등, 2022). 유럽에서는 M. laxa가 주로 발견되고, M. fructicola는 호주와 미국에서 주로 발견되었다. 그러나 국내는 전라도의 전주와 임실 두 지역에서 2년간 핵과류에서 발생한 잿빛무늬병에 대한 조사만 이뤄졌을 뿐 현재 전국적 단위로 Monilinia spp.의 분포에 대한 기초 자료가 부족한 실정이다(Oh 등, 2017). 본 연구에서는 강원, 경기, 경상, 전라, 충정 총 5개의 권역에서 2023년, 2024년 2년간 잿빛무늬병이 발생하는 핵과류 과실 재배지에서 분리된 144개 균주를 사용하였다(Table 1). 병원균을 동정하기 위해 형태학적 동정과 계통학적 동정을 위해 ITS, lcc2, β-tubulin, cyt B, TEF1-α 5가지 영역 중에서 4가지 유전자를 사용하여 동정하였다(Fig. 1). 2023년도 상반기(first half of 2023)에 분리된 그룹(32 isolates)을 ITS, β-tubulin, cyt B, TEF1-α 4가지 영역을 이용하여 다중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multilocus sequence) 결과 2023년 상반기에 분리된 32개 균주 모두 Monilinia 속과 99% 이상의 유전적 유연관계를 보였으며, M. fructicola로 분류되었다(Fig. 1A). 2023 하반기에 분리된 58개 균주도 상반기 32개의 균주와 동일하게 진행하고자 하였으나 TEF1-α 유전자를 PCR 증폭 과정에 단일 증폭에 어려움이 있어 lcc2 유전자로 변경 후 ITS, lcc2, β-tubulin, cyt B 4가지 영역을 이용하여 다중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M. fructicola와 99% 이상의 유전적 유연관계로 식별되어 M. fructicola로 동정하였다(Fig. 1B). 추가적으로 비교 균주(reference strain)로 KACC에서 분양받은 NO. 44711 균주 또한 4가지 유전 영역을 동정하였을 때 M. fructicola로 분류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2023년에서는 모든 90개의 병원균이 M. fructicola로 식별된 반면에 2024년에 분리된 54개 병원균 중 52개 균주는 4가지 영역을 이용한 다중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에서 M. fructicola로 분류되었고, G62와 G73인 2개의 균주는 ITS와 lcc2 2가지 영역에서 M. laxa로 식별되었다(Fig. 1C-E).
Fig. 1.
Phylogenetic trees of brown rot isolated from stone fruits in 2023 and 2024. (A, B) multilocus phylogeny for four gene regions of 90 isolates isolated in the first and second half of 2023 (A: ITS, β-Tubulin, cyt B, TEF1-α; B: ITS, β-Tubulin, cyt B, lcc2). (C) multilocus phylogeny (ITS, β-Tubulin, cyt B, lcc2) of brown rot pathogens isolated from stone fruits in 2024, excluding G62 and G73. (D) ITS. (E) lcc2 phylogeny of 54 isolates including G62 and G73 isolated in 2024. Numerical values on the branches represent bootstrap values, expressed as a percent-age, based on 1,000 replicates. Sequences were compared using the Maximum Likelihood method in MEGA 11 software.
RPD-2025-31-1-71f1.jpg

Monilinia fructicolaM. laxa의 형태학적 특성.

KACC에서 분양받은 M. fructicolaM. laxa로 확인되는 2개의 균주(G62, G73)를 25 o C의 동일한 조건에서 배양하였을 시 M. laxa로 동정된 균주가 상대적으로 균사 생장이 느리고 포자를 잘 형성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Fig. 2). 이것은 M. fructicola보다 M. laxa가 25 o C에서 생육 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리다는 선행 연구와 동일한 결과를 보여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Hu 등, 2011; Martini와 Mari, 2014). 배양된 균총의 색상은 M. laxa, M. fructicola 두 종 모두 회색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여 선행 결과와 동일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Fig. 2). 광학 현미경을 이용하여 포자를 관찰한 결과, M. fructicola, M. laxa 두 종 모두 균사에서 Monilinia spp.의 특징으로 알려진 monilioid chain을 형성하고 약 9-11 μ m 크기의 타원 형태 분생포자를 생성하는 것을 확인하여 선행 연구에서 조사된 Monilinia spp. 포자 크기와 유사한 것을 확인하였다(Hu 등, 2011) (Table 3). 이러한 결과는 형태학적 특성만으로 2종의 Monilinia를 특정하기 어려운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Monilinia spp.의 정확한 분류 동정을 위하여서는 필수적으로 분자생물학적 동정을 수행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Fig. 2.
My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isolate identified as Monilinia fructicola (KACC) and Monilinia laxa (G62, G73). (A) KACC (No 44711, M. fructicola), (B) G62, and (C) G73 isolates, all cultured on PDA medium at 25 o C for 9 days. (D-F) Cultured in 9 cm plates on V8 medium at 25 o C in darkness for 9 days. (D) KACC (No 44711, M. fructicola), (E) G62, (F) G73. (G-I) Monilioid chains and conidia were observed at 400× magnification using an Olympus BX53 optical microscope (Olympus Corporation, Tokyo, Japan). (G) KACC (No 44711, M. fructicola), (H) G62, and (I) G73 isolates. KACC, Korean Agricultural Culture Collection; PDA, potato dextrose agar.
RPD-2025-31-1-71f2.jpg
Table 3.
Colony morphology, color, and conidia characteristics of Monilinia spp.
Species Conidia size (μ m) Colony morphology Colony color Reference
M. fructicola 14.5-16.0×9.5-11.0 Flat and effuse Gray Oh et al. (2017)
M. laxa 10-17×7-11 Lobbed margins Gray Hu et al. (2011)
M. fructigena 12-31×7-17 Fragmented radial Gray Hu et al. (2011)
M. yenanensis 10-21×7-12 Fragmented radial Gray-green Hu et al. (2011)
M. mumecola 14-31×11-17 Lobbed margins Gray-green Hu et al. (2011)

국내 핵과류 잿빛무늬병 발생 원인균의 분포.

한국식물병 명목록에 따르면 현재까지 국내에서 핵과류인 매실, 체리, 복숭아, 자두 등에서 잿빛무늬병을 초래하는 종은 Monilinia fructicola, M. laxaM. kusanoi로 3종이 알려져 있다(The Korean Society of Plant Pathology, 2022).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M. fructicola뿐 아니라 M. laxa도 발견할 수 있었으나 그 외의 종은 확인되지 않았다(Table 1, Fig. 1). 이는 국내에서 2015년, 2017년 각 2년 동안 3곳의 포장지에서 발생한 brown rot를 조사한 선행 연구와 2022년에 39개의 brown rot 병원균을 동정한 선행 연구에서 모두 M. fructicola로 동정된 결과와 유사하였다(Lee 등, 2024; Oh 등, 2017). 즉 선행 연구와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국내에서 핵과류 잿빛무늬병을 발병시키는 병원균은 M. fructicola가 우점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 다른 선행 연구에 따르면 Monilinia spp. 중에서 M. fructicola가 다양한 살균제 계열에 대한 저항성 보고가 많이 되어 있으며 M. laxa 보다 살균제 저항성을 쉽게 가질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Papavasileiou 등, 2015; Rungjindamai 등, 2014; Villarino 등, 2013). 그러므로 국내에 분포하고 있는 핵과류 잿빛무늬병균을 동정하여 M. fructicola가 우점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므로 저항성 출현 가능성이 높은 M. fructicola 살균제 저항성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선행 연구에 따르면 M. laxa는 5 o C에서 포자 형성이 뛰어나지만 22 o C 이상일 경우 포자가 잘 형성되지 않는 특징이 보고되었다. 반면 M. fructicola는 포자 형성을 빠르게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Bernat 등, 2017; Martini와 Mari, 2014). 본 연구에서 형태학적 동정을 위해 동일한 배지에서 일정 기간 배양하였을 시 M. fructicolaM. laxa보다 빠르게 균사 생장 및 포자 형성하였으며, 이는 지구 열대화로 점차 고온이 되어 가는 국내에서 M. fructicola가 우점하는 것이 가속화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M. yunnanensisM. mumecola 두 종은 한반도와 가까운 일본과 중국에서 발견되었으며 선행 연구에 따르면 M. fructiola와 유사한 균학적 특성과 유사한 생육 온도를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Harada 등, 2004; Yin 등, 2015). 이로 인해 이번 연구에서는 2종 (M. fructicola, M. laxa) 만이 발견되었으나, 추후에는 기후 변화와 해외 유입과 같은 외부 요인에 의해 전국적으로 발병되는 Monilinia 종의 변화가 다양화될 가능성도 있어 연도별로 다양한 핵과류 잿빛무늬병균의 분포 양상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NOTES

Conflicts of Interest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Acknowledgments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of Korea (RS-2022-RD010350).

REFERENCES

Bernat, M., Segarra, J., Xu, X. M., Casals, C. and Usall, J. 2017. Influence of temperature on decay, mycelium development and sporodochia production caused by Monilinia fructicola and M. laxa on stone fruits. Food Microbiol. 64: 112-118.
crossref pmid
De Miccolis Angelini, R. M., Landi, L., Raguseo, C., Pollastro, S., Faretra, F. and Romanazzi, G. 2022. Tracking of diversity and evolution in the brown rot fungi Monilinia fructicola, Monilinia fructigena, and Monilinia laxa . Front. Microbiol. 13: 854852.
pmid pmc
Desjardins, P. and Conklin, D. 2010. NanoDrop microvolume quantitation of nucleic acids. J. Vis. Exp. 45: e2565.
crossref
Fatima, F., Chaudhary, I., Ali, J., Rastogi, S. and Pathak, N. 2011. Microbial DNA extraction from soil by different methods and its PCR amplification. Biochem. Cell. Arch. 11: 85-90.
Fischer, J. M. M., Savi, D. C., Aluizio, R., May De Mio, L. L. and Glienke, C. 2017. Characterization of Monilinia species associated with brown rot in stone fruit in Brazil. Plant Pathol. 66: 423-436.
crossref pdf
Flore, J. A. 2018. Stone fruit. In: Handbook of Environmental Physiology of Fruit Crops, eds. by B. Schaffer and P. C. Andersen, pp. 233-270. CRC Press, Boca Raton, FL, USA.
crossref
Fulton, C. E. and Brown, A. E. 1997. Use of SSU rDNA group-I intron to distinguish Monilinia fructicola from M. laxa and M. fructigena . FEMS Microbiol. Lett. 157: 307-312.
crossref pmid
Hans, M., Shah, M.A. and Bansal, R. 2020. Peach. In: Antioxidants in Fruits: Properties and Health Benefits, eds. by G. A. Nayik and A. Gull, pp. 449-459. Springer, Singapore.
crossref pmid
Harada, Y., Nakao, S., Sasaki, M., Sasaki, Y., Ichihashi, Y. and Sano, T. 2004. Monilia mumecola, a new brown rot fungus on Prunus mume in Japan. J. Gen. Plant Pathol. 70: 297-307.
crossref pdf
Hily, J. M., Singer, S. D., Villani, S. M. and Cox, K. D. 2011. Characterization of the cytochrome b (cyt b) gene from Monilinia species causing brown rot of stone and pome fruit and its significance in the development of QoI resistance. Pest Manag. Sci. 67: 385-396.
crossref pmid
Hu, M. J., Cox, K. D., Schnabel, G. and Luo, C. X. 2011. Monilinia species causing brown rot of peach in China. PLoS One 6: e24990.
crossref pmid pmc
Kim, D.-R., Gang, G.-H., Jeon, C.-W., Kang, N. J., Lee, S.-W. and Kwak, Y.-S. 2016. Epidemiology and control of strawberry bacterial an-gular leaf spot disease caused by Xanthomonas fragariae . Plant Pathol. J. 32: 290-299.
crossref pmid pmc
Lee, S. I., Lee, H.-J. and Kwak, Y.-S. 2024. Genetic variation of Monilinia fructicola population in Korea. Plant Pathol. J. 40: 205-217.
crossref pmid pmc pdf
Martini, C. and Mari, M. 2014. Monilinia fructicola, Monilinia laxa (Monilinia rot, brown rot). In: Postharvest Decay, ed. by S. Bautista-Baños, pp. 233-265. Academic Press, San Diego, CA, USA.
crossref
McLaren, G. F., Fraser, J. A. and Lynch, D. G. 1996. An evaluation of sulphur for brown rot control in Central Otago stonefruit. N. Z. Plant Prot. 49: 32-36.
crossref pdf
Oh, H.-T., Choi, I.-Y., Kim, J., Na, Y.-E., Lee, W.-H., Lee, K.-J. et al. 2017. Characteristics of brown rot caused by Monilinia fructicola on stone fruit in Korea. Res. Plant Dis. 23: 322-333. (In Korean)
crossref pdf
Papavasileiou, A., Karaoglanidis, G. S. and Michailides, T. J. 2015. Intraspecific diversity of Monilinia fructicola and M. laxa populations from blossoms and fruit of different hosts in Greece. Plant Dis. 99: 1353-1359.
crossref pmid
Potter, D. 2012. Basic information on the stone fruit crops. In: Genetics, Genomics and Breeding of Stone Fruits, eds. by M. L. Badenes and D. H. Byrne, pp. 1-21. CRC Press, Boca Raton, FL, USA.
crossref
Ram, V. and Bhardwaj, L. N. 2004. Stone fruit diseases and their management. In: Diseases of Fruits and Vegetables: Volume II: Diagnosis and Management, ed. by S. A. Naqvi, pp. 485-510. Springer Netherlands, Dordrecht, Netherlands.
crossref
Robert, V., Stegehuis, G. and Stalpers, J. 2005. The MycoBank engine and related databases. URL https://www.MycoBank.org [21 January 2025]
Rungjindamai, N., Jeffries, P. and Xu, X. M. 2014. Epidemiology and management of brown rot on stone fruit caused by Monilinia laxa . Eur. J. Plant Pathol. 140: 1-17.
crossref pdf
Tamura, K., Stecher, G. and Kumar, S. 2021. MEGA11: Molecular evolutionary genetics analysis version 11. Mol. Biol. Evol. 38: 3022-3027.
crossref pmid pmc pdf
The Korean Society of Plant Pathology. 2022. List of Plant Diseases in Korea. KSPP Press, Seoul, Korea.
Vasić, M., Vico, I., Jurick, W. M. 2nd and Duduk, N. 2018. Distribu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onilinia spp. causing apple fruit decay in Serbia. Plant Dis. 102: 359-369.
crossref pmid
Villarino, M., Egüen, B., Lamarca, N., Segarra, J., Usall, J., Melgarejo, P. et al. 2013. Occurrence of Monilinia laxa and M. fructigena after introduction of M. fructicola in peach orchards in Spain. Eur. J. Plant Pathol. 137: 835-845.
crossref pdf
White, T. J., Bruns, T., Lee, S. and Taylor, J. 1990. Amplification and direct sequencing of fungal ribosomal RNA genes for phylogenetics. In: PCR protocols: a guide to methods and applications, eds. by M. A. Innis, D. H. Gelfand, J. J. Sninsky and T. J. White, pp. 315-322. Academic Press, New York, NY, USA.
crossref
Yin, L. F., Chen, S. N., Chen, G. K., Schnabel, G., Du, S. F., Chen, C. et al. 2015.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ree Monilinia species from plum in China. Plant Dis. 99: 1775-1783.
crossref pmid
Zhu, X. Q., Niu, C. W., Chen, X. Y. and Guo, L. Y. 2016. Monilinia species associated with brown rot of cultivated apple and pear fruit in China. Plant Dis. 100: 2240-2250.
crossref pmid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Rm,904 (New Bldg.) The Korean Science & Technology Center 22, Teheran-ro 7-gil, Gangnam-gu, Seoul 06130, Korea
Tel: +82-2-557-9360    Fax: +82-2-557-9361    E-mail: paper@kspp.org                

Copyright © 2025 by The Korean Society of Plant Patholog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